오늘은 노령연금/조기 노령연금의 조건과 월 수령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령연금의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노령연금은 크게 구분을 노령연금과 조기노령연금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두 구분의 수급요건, 급여 수준이 모두 다릅니다. 또한, 노령연금은 월소득기준액, 가입기간에 따라 수령액이 달라지니 각자 조건에 맞게 본 글을 통해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노령연금 구분/수급요건/급여수준
구분 | 수급요건 | 급여수준 |
노령연금 | 가입기간 10년 이상으로 60세에 도달한 자 (65세 미만이면 소득이 없는 경우에 한함) | 기본연금액 × 가입기간별 지급률* + 부양가족연금액* 가입기간 10년 기준 50%에 가입기간 10년을 초과하는 1년마다 5%를 가산(1년 미만이면 매 1개월마다 5/12% 가산) |
노령연금 수급권자가 65세 이전에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 | 노령연금액(月) = [(기본연금액 × 가입기간별 지급률*) ÷ 12] - 월감액금액** * 가입기간 10년 기준 50%에 가입기간 10년을 초과하는 1년마다 5%를 가산(1년 미만이면 매 1개월마다 5/12% 가산) ** A값을 초과하는 소득월액에 따라 감액하여 지급 (최대 50%까지 감액) |
|
조기 노령연금 | 가입기간 10년 이상, 연령55세 이상인 자가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아니하고, 60세 도달전에 청구한 경우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면 지급 정지) | [노령연금액 - 부양가족연금액] × 연령별 지급률* + 부양가족연금액 * 55세 70%, 56세 76%, 57세 82%, 58세 88%, 59세 94% 지급(55세 수급연령 개시 기준) |
노령연금 수령액
노령연금의 수령액은 크게 4가지 요소로 결정이 됩니다.
- 소득대체율: 나의 소득 대비받게 되는 연금액의 수준을 합니다. 우리나라 소득대체율은 2022년 44%입니다. 1998년 이전 소득대체율이 70%였던 것에 비해 많이 낮아진 수준입니다.
-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 소득 재분배를 목적을 두고 있는데, 전체 가입자의 평균보다 낮은 사람은 평균 소득을 끌어올려주고, 평균보다 높은 사람의 소득은 낮추는 효과를 두어 소득의 재분배를 일으키게 하는 것입니다.
- 나의 평균 소득
- 가입기간
노령연금 월 수령액 표
노령연금 월 수령액 표를 보며 간단한 노령연금 예상 월 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 우선 자신에게 해당되는 국민연금 가입 기간 중 기준 소득월액 평균액과 가입기간을 찾습니다.
- 소득월액 평균액 170만 원에 국민연금 가입기간 20년이라면 노령연금으로 월 431,390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글 길이 특성상 더 많은 소득월액 기준을 담지 못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노령연금 월 수령액 자세히 알아보기
위의 표는 단순히 조건에 맞는 표를 나열한 것이기에 각 당 사장 맞는 정확한 분석을 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국민연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더 자세한 월 수령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App store 또는 Google play에서 "내 곁에 국민연금"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줍니다.
2. 공인인증서/카카오 페이 등을 통한 개인 인증을 한다면 아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메인화면에서 바로 세전/세후 예상 월 수령액, 노령연금 기준(조기 노령연금 X) 수급 권리가 발생하는 시점까지 자세히 확인이 가능합니다.
노령연금 월 수령액 더 많이 받는 방법?
노령, 유족, 장애(1~3급) 연금을 받는 사람에게 배우자, 미성년 자녀, 고령의 부모 등 부양해야 하는 가족이 있는 경우 부가적으로 연금을 더 받을 수 있는데, 이를 부양가족연금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부양가족이란 배우자(사실혼 포함), 19세 미만 또는 장애 2급 이상 자녀, 주민등록상 세대를 같이 하는 고령의 부모 등을 의미합니다.
부양가족이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의 공적연금을 받고 있는 경우에는 대상에서 제외되며, 한 사람이 둘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의 부양가족이 될 수는 없습니다. 만약 한 사람이 두 명의 수급자의 부양가족이라면 합의해서 어느 한 사람에게 지급하게 되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지급 사유가 먼저 발생한 수급자의 부양가족으로 포함됩니다.
부양가족연금 지급 기준 | |
배우자 |
사실혼 배우자 포함 |
자녀 |
19세 미만 또는 장애 2급 이상(양자, 결혼 전에 얻은 계자녀 포함) |
부모 |
62세 이상 또는 장애 2급 이상(배우자의 부모, 계부모 포함) 단, 주민등록표상 세대를 같이 해야 함. |
2021년 1월 기준 부양가족연금은 배우자의 경우 1년에 263,060원, 자녀·부모의 경우 1년에 175,330원입니다. 부양가족연금은 소득 수준, 가입기간 등과 관계없이 정액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부양가족연금은 노령연금 등을 신청할 때 같이 신청해서 받을 수 있고, 가까운 지사를 방문하거나 노령연금 온라인으로 신청 시 같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노령연금 수급조건, 급여 수준 및 월 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노령연금은 노후에 도움이 되는 사회보장 복지 서비스 중 하나인데, 미리미리 잘 챙겨놓으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직장 생활을 하면 기본적으로 국민연금에 가입이 되니 최소 일 하는 동안은 가입기간이 보장이 됩니다. 납부 지연 없이 하셔서 나중에 조금이라도 불이익당하는 일이 없길 진심으로 바라며 오늘의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다른 흥미롭게 읽으실만한 글도 있으니 같이 읽어봐 주세요.
기초노령연금(기초연금) 신청방법, 준비서류 알아보기
오늘은 기초노령연금(기초연금) 신청방법과 준비서류는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연금의 수급자격 및 수급금액에 대해서는 먼저 알아보았고, 이제 어떻게 신청하는지, 신청하는 데
atqbas.tistory.com
기초노령연금(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수급금액 알아보기
오늘은 기초노령연금(기초연금) 수급자격과 수급금액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초노령연금은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국가 복지 제도 중의 하나로 현재는 기초연금으로 명칭이 변
atqbas.tistory.com
노령연금 신청 방법 및 노령연금 지급청구서 작성하기
오늘은 노령연금의 신청대상, 신청방법, 작성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을 일정 기간 가입했다면 무조건 신청할 수 있지만 신청 방법이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자주
atqbas.tistory.com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예외 알아보기
최근 코로나로 인해 많은 분들이 힘든 삶을 보내고 있는데,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에 부담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분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글을 오늘 써보고자 합니다. 바
atqbas.tistory.com
국민연금 기본상식 - 임의가입
4대 보험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인데, 그중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혜택을 받아가는 국민연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관하여 알아야 할
atqbas.tistory.com
'삶에 도움이 되는 정보(세금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재산세 납부 방법 및 세테크 꿀팁 알아보기 (0) | 2021.07.11 |
---|---|
2021년 초복, 중복, 말복 언제인지 알아보고 음식 챙겨 먹기 (0) | 2021.07.11 |
기초노령연금(기초연금) 신청방법, 준비서류 알아보기 (0) | 2021.07.03 |
기초노령연금(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수급금액 알아보기 (0) | 2021.07.03 |
2021 대체 공휴일 법안 통과, 4일 추가 공휴일 확정 (0) | 2021.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