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1한부모가정혜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각 혜택이 종류 별로 많아 아래 7가지 종류별로 나누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임신 · 출산
- 양육 · 돌봄
- 시설 및 주거
- 교육 및 취업
- 금융 및 법률
- 기타
- 요금 감면
임신 · 출산
임신·출산 · 진료비 지원 (국민행복카드)임신 1회당 60만원(다태아 임산부 100만원)청소년 산모만 18세 이하 120만원 지원 |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발급 은행 건강보험공단 1577-1000 복지로(wwww.bokjiro.go.kr) |
산모건강관리산전혈액검사, 철분제 엽산제 지원, 표준모자보건수첩 제공 등 | 보건소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입원치료를 받는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임산부에게 급여 비급여 일부 지원 | 보건소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중위소득 100% 이하의 가정건강관리사 파견(바우처) | 보건소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출산비용 지원(기초생활수급자 긴급복지지원대상자 자녀 1인당 70만원* (1~6급 여성장애인) 자녀 1인당 100만원 | 주민센터 / 시·군·구청 긴급지원담당부서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미혼모자시설(기본형)이혼·사별 또는 미혼 임산부 및 출산후 (6개월 미만) 숙식무료제공, 분만 혜택제공, 자립지원,의료비 등 지원 | 해당 시설 및 지자체한부모상담전화 1644-6621 여성가족부 (www.mogef.go.kr) |
양육 · 돌봄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등 지원중위소득 52% 이하 만 18세 미만 아동을 양육하는 한부모 조손가족- 아동양육비(월 20만원) 추가 아동양육비 · 학용품비 시설입소자 생활보조금 한부모가족 증명서(중위소득 60%) | 주민센터한부모상담전화 1644-6621 복지로(wwww.bokjiro.go.kr) |
청소년한부모 가구 지원청소년한부모 아동양육비 등 중위소득 60% 이하 만 24세 이하 아동양육비(월 35만원) 검정고시 학습비 · 고교생 교육비 자립지원진수당·한부모가족 증명서(중위소득 72%) | 주민센터한부모상담전화 1644-6621 복지로(wwww.bokjiro.go.kr) |
긴급복지지원갑작스러운 위기사위이혼, 실직, 질병 등) 발생으로 생계유지 등이 곤란한 가구에게 생겨 의료·주거등 지원 | 주민센터 / 시 ·군·구청 긴급지원담당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사회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실내환경 오염물질 진단 및 컨설팅, 친환경 주거개선, 환경성질환 어린이 진료 지원 등 | 시도 및 시·군 구 환경업무 부서 - 한국환경산기술원 02-2284-1813, 1819 |
미혼모부자 초기지원 (거점기관)출산·양육지원, 친자검사비 지원, 교육 문화프로그램 자조모임 등 | · 한부모상담전화 1644-6621 |
맞춤형 기초생활 보장소득인정액이 급여별 선정기준 이하 가구에게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교육비 등 지급 | 주민센터 / 보건복지 상담센터 129 · 주거급여 상담센터 1600-0777 |
가족역량강화 지원중위소득 72% 이하 한부모·조손가족 등에게 사례관리, 자녀 학습 정서지원, 생활도움 등 제공 및 서비스 연계 | - 건강가정지원센터 고객센터 1577-9337 - 여성가족부(www.mogef.go.kr) |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중위소득 180% 이하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다자녀 가구는 소득수준 관계 없음) 대상 급여·비급여 일부 지원 | 보건소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및 환아관리중위소득 180% 이하 영아(다자녀 가구는 소득수준 관계없음)에게 검사비 지원만 19세 미만 선천성 대사이상 및 희귀 등 기타 질환 환아 대상 의료비 등 지원 | 보건소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중위소득 180% 이하 영아 다자녀 가구는 소득수준 관계없음) 대상 검사비 및 보청기 지원 | 보건소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만2세 미만 영아를 둔 기초생활보장,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수급 가구- 기저귀 및 조제분유 구매비용 지원(바우처) | 보건소 및 주민센터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복지로 (wwww.bokjiro.go.kr) |
아동수당만 7세 미만 모든 아동에게 최대 84개월 간 월 10만원 지급 | 보건소 및 주민센터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복지로 (wwww.bokjiro.go.kr) |
유아학비 지원 (만 3-5세 누리과정 지원)유치원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 대상 유아학비 보육료 방과후과정 비용 지원 | 보건소 및 주민센터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복지로 (wwww.bokjiro.go.kr) |
보육료 지원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5세 아동에게 보육료 지원(바우처) | 보건소 및 주민센터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복지로 (wwww.bokjiro.go.kr) |
가정양육수당 지원가정양육 영유아의 월령에 따라 월 10-20만원의 수당 현금 지급 | 보건소 및 주민센터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복지로 (wwww.bokjiro.go.kr) |
아동통합서비스 지원 : 드림스타트임산부와 만 12세 이하 아동 및 가족에게 통합서비스 제공 | 주민센터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아동권리보장원 02-6283-0266 (https://www.ncrc.or.kr/ncrc/main.do) |
아이돌봄서비스-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양육공백 발생 가정에 아이돌보미 파견- 소득구간별 정부지원 | · 주민센터· 아이돌봄서비스 상담센터 1577-2514,(idolbom.go.kr) 복지로 (wwww.bokjiro.go.kr) |
지역아동센터 지원- 중위소득 100% 이하만 18세 미만 아동에게 아동보호, 교육기능, 정서적 지원, 문화서비스, 지역연계 등 프로그램 운영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여성청소년 보건위생물품 지원보건위생물품(생리대)을 구매할 수 있는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포인트 지원 | - 주민센터 / 사회보장정보원 1566-3232 복지로 (wwww.bokjiro.go.kr) |
가사·간병 방문 지원질병 생활고 등으로 가사·간병이 필요한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에게 가사 간병 서비스 지원 (바우처)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희망복지지원단 통합사례 관리* 복지 보건 고용 등 연계 제공하여 탈빈곤 및 자활 지원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육아종합지원센터자녀돌봄활동 장소 제공, 장난감 및 도서대여, 프로그램 운영 등 | - 육아종합지원센터 고객센터 1577-0756. (central childcare.go.kr)- 보건복지 상담센터 129 |
공동육아나눔터· 대상 자녀가 있는 가정에 이웃과 함께 자녀돌봉활동 장소 제공, 프로그램 운영, 돌봄품앗이 지원 등 | 건강가정지원센터 고객센터 10 1577-9337. www.familynet.or.kr |
초등돌봄교실단체활동 프로그럼, 숙제 도서 휴식 등 개인 활동, 급·간식 지원 등 | ·재학(입학 예정) 초등학교· 교육부 민원콜센터 02-6222-6060 |
시설 및 주거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저소득 무주택 한부모가족에게 주거 자립 준비, 아이돌서비스 심리치료 지원 등 | - 시·군·구청 - 한부모상담전화 1644-6621 |
공동생활가정 매입임대주택 주거 지원* 저렴한 비용으로 주거, 자조모임, 취업연계 등 지원 | - 시·군·구청 - 한부모상담전화 1644-6621 |
공공주택 지원• 주택 유형별 자격요건을 갖춘 한부모가족 * 영구임대, 매입·전세임대, 국민임대, 공공임대, 행복주택 등 |
- 시·군·구청 / 각 시도 도시공사 - 한국토지주택공사 1600~1004 (www.lh.or.kr) |
교육 및 취업
미혼모 대안교육 위탁기관* 학업을 지속하고자 하는 학생 미혼모 대상 위탁 교육 지원 | - 해당기관, 시·도 교육청 대안교육 담당자 - 한부모상담전화 1644-6621 - 여성가족부 (www.mogef.go.kr)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상담, 직업교육훈련, 취업연계, 여성창업 등 지원 | - 새로일하기센터 상담전화 1544-1199. 여성가족부 (saeil.mogef.go.kr) |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지원*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청소년(초등4학년 중등3학년) 대상 급식, 보충학습, 상담, 체험활동 등 운영 | - 주민센터 / 방과후아카데미 (www.youth.go.kr/yaca/index.do)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02-330-2831-44 |
자녀 교육비 지원• 고교 학비, 학교급식비, 방과후 학교 자유수강권, 교육정보화지원 등 | - 주민센터 / 복지로 (www.bokjino.go.kr) - 교육비 신청시스템 ( oneclick.moe.go.kr ) |
청소년치료재활센터 * 정서·행동에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만 9~18세) 대상 상담 치료, 보호, 교육, 자립지도 등 지원 |
- 국립중앙청소년디딤센터 031-333-1900, (www.nyhc.or.kr) |
장학금 및 학자금 대* 지원 * 대학 재학시 국가장학금, 근로장학금 등 자원 •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 등 |
- 한국장학재단 1599-2000. (www.kosaf.go.kr) |
취업성공패키지 + 만 18-69세 이하 한부모 등에게 취업상담, 직업능력증진, 취업알선 등 프로그램 제공 |
고용노동부 고용센터 1350 |
한부모 노동자 육아휴직급여- 첫 3개월은 통상임금의 100%, 4~6개월은 80%, 7개월부터는 50% 지급 | 고용노동부 고용센터 1350 |
금융 및 법률
양육비 이행지원 서비스 * 양육비 상담, 합의, 소송 및 추심, 모니터링, 면접교섭 지원, 한시적 양육비 긴급지원 등 |
양육비이행관리원 한부모상담전화 1644-6621 |
한부모가족 무료법률구조 * 법적분쟁 발생 시 법률상담, 소송대리 등 무료법률구조를 통해 소송비용 등 지원 |
대한법률구조공단 132 |
근로장려금 * 소득 및 재산요건을 충족하는 훈벌이 가구 등에게 근로장려금 지급 |
매년 5월 국세청 인터넷 홈택스, 모바일 손택스맵 및 ARS 1544-9944 |
자녀장려금* 소득 및 재산요건에 따라 만 18세 미만 부양자녀가 있는 가구에게 자녀 1인당 지급 | - 서민금융동합콜센터 1397 - 서민금융진흥원 (www.kinfa.or.kr) |
소액보험 차상위 한부모 조손가족의 만 12세 이하 아동 및 부양자 등보험계약(저소득층 아동보험 등) 체결 및 보험료 전액 지원 |
- 서민금 융동합콜센터 1397 - 서민금 융진흥원 (www.kinfa.or.kr) |
미* 금 융창업자금, 운영자금 및 취약계층자립자금 등 저금리로 대(*) | - 서민금융동합콜센터 1397 - 서민금융진흥원 (www.kinfa.or.kr) |
청소년한부모적금요건에 해당하는 청소년한부모 가구주 대상 1년치 이자분 추가 지급 | - 서민금융동합콜센터 1397 - 서민금융진흥원 (www.kinfa.or.kr) |
희망키움통장 (I, II)일하는 저소득층을 위해 매월 10만원 저축하면 정부지원금 매칭 지원 | 주민센터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청년희망키움통장 * 일하는 생계급여 수급청년이 꾸준히 근로하여 통장 유지서 근로소득공제금 및 근로소득장려금 적립 |
주민센터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청년저축계좌 일하는 주거·교육 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층 청년이 매월 10만원 저축 시 정부지원금 대칭 지원 |
주민센터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사업단에 1개월 이상 참여하면서 매될 일정금액 저축 시 장려금, 수익금 지원 | 자활센터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기타
미혼부 자녀 출생신고 지원 - 출생신고 과정 지원 친자검사비 지원 (미혼모부자 거점기관, 대한법률구조공단) |
대한법률구조공단 132 한부모상담전화 1644-6621 |
스포츠 강좌 이용권만 5~18세 유 청소년스포츠강좌(태권도, 수영, 축구 등) 수강료 자원 이용권 제공 | - 스포츠강좌이용권 상담센터 02-410-1298-9, (svoucher.kspo.or.kr) |
통합문화이용권 (문화누리카드)* 6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문화예술 - 여행 · 체육 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문화누리카드 발급 (1인당 연 9만원) | - 주민센터 - 문화누리카드 1544-3412. (www.mruri.kr) |
4대궁·종묘 조선왕릉 무료입장한부모가족 증명서 제시 시 4대궁(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종교 · 조선왕릉 무료입장 | - 문화재청 궁능서비스기획과 02-6450-3837 |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 LPG 가스시설 교체, 타이머콕 등 안전장치 보급지원 등 | 주민센터 / 한국가스안전공사 1 544-4500 |
요금 감면
건강보험료 경감 | 주민센터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복지용 쌀 할인 지원(기준가격의 60-92% 할인) | 주민센터 |
지역난방 전기 가스요금 감면 | 주민센터 / 산업통상자원부 1577-0900 - (전기) 한국전력공사 123 (가스) 해당 지역 가스공급사 고격센터 |
에너지바우처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 주민센터 / 에너지바우처 콜센터(1600-3190) |
이동동신요금 감면 | - 주민센터 / 각 해당 이동통신사 대리점 - 복지할인 전용 ARS 1523. 고객센터 114 |
과태료 50% 이내 감경 | 해당 과태료 부과 행정기관 |
자동차검사수수료 감면(기초생활수급자 면제, 한부모가족 80% 감면) | 한국교통안전관리공단 1577-0090 |
수도요금 감면 |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상수도사업본부 ' 지원 내용은 지자체별로 상이할 수 있음 |
종량제 폐기물 처리 수수료 감면 |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상수도사업본부 ' 지원 내용은 지자체별로 상이할 수 있음 |
주민등록 등초본 발급 수수료 면제 | - 주민센터 - 거주지 관할 상수도사업본부 ' 지원 내용은 지자체별로 상이할 수 있음 |
이상으로 2021한부모가정혜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한부모 가정에 대한 혜택이 궁금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300x250
'삶에 도움이 되는 정보(세금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대보험 개념정리 (0) | 2021.06.16 |
---|---|
군 제대한 여러분, 군복무 크레딧에 대해서 알고 계시나요? (0) | 2021.06.16 |
노트북 와이파이 안 뜰 때 3가지 대처 방법 (0) | 2021.06.16 |
기온별 옷차림 (0) | 2021.06.16 |
주접멘트모음 (0) | 2021.06.16 |
댓글